값을 담아두는 그릇 또는 상자
필요에 따라 변수에 저장된 값은 바뀔 수 있다.
일시적으로 자료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변수에 저장된 값은 변할 수 있다.
# **일시적**으로 자료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변수에 **저장된 값은 변할 수 있다.**
a = 100
print(a)
>>> 100
a = 200 # (100 -> a)
print(a)
>>> 200
변수에는 숫자, 문자열 등 모든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고, 다른 변수의 값도 저장할 수 있다.
# 변수에는 숫자, 문자열 등 **모든 자료형을 저장**할 수 있다.
age = 19 # 숫자 저장
name = "김운학" # 문자열 저장
print(age, name)
>>> 19 김운학
age = 19 # 숫자 저장
name = "김운학" # 문자열 저장
print(age + name) **# 오류 발생 : 숫자와 문자열은 합할 수 없다.**
age = 19 # 숫자 저장
name = "김운학" # 문자열 저장
print(str(age) + name) # str()로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 후 합한다.
>>> 19김운학
# 변수에는 **다른 변수의 값도 저장**할 수 있다.
a = 100
b = a
print(b)
age = 19
age = age + 5
print("5년 후의 나이는 ", age, "살이다")
>>> 5년 후의 나이는 24살이다
변수는 사용되기 전에 반드시 할당되어 있어야 한다.
영문자, 숫자, 밑줄 문자()로 구성될 수 있으며, 첫 글자는 반드시 영문자 혹은 밑줄 문자()로 시작한다.
# 첫글자는 반드시 **영문자 혹은 밑줄문자로 시작**한다.
age = 22 # 영문자로 시작
_name = "박성호" # 밑줄 문자로 시작
print(age, _name)
>>> 22 박성호
1riize = "라이즈" **# 오류 발생 : 숫자로 시작**
공백이 들어가면 안된다.
# **공백이 들어가면 안된다**.
handsome guy = "차은우" **# 오류 발생 : 공백 포함**
handsome_guy = "차은우"
print(handsome_guy)
>>> 차은우
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한다.
# **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**한다.
Mcount_mc = "성한빈"
mcount_mc = "이소희"
print(Mcount_mc)
>>> 성한빈
print(mcount_mc)
>>> 이소희
# 밑줄 문자 외에 다른 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다.
@Love = 119 **# 오류 발생 : 특수문자(@) 사용**
파이썬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예약어는 변수 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.
# 파이썬에서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예약어는 변수 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.
if = "만약" **# 오류 발생 : 예약어 사용**